순천시문화도시

순천시문화도시사업추진단

닫기
통합검색

정원을 품은 생태문화도시 “순천”

생태와 문화, 사람이 문화를 매개로 조화롭게 하는 것에 가장 큰 가치를 둡니다.

지역문화공동체 활성화 : 작은도서관-생태예술강사 연계 활성화
추진 시기 : 2020년 4월~12월

지역문화공동체 활성화

작은도서관-생태예술강사 연계 활성화

사업개요

사 업 명 : 지역문화공동체 활성화 : 작은도서관-생태예술강사 연계 활성화

사업목적 : 생태문화도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및 도․농문화격차 해소

추진 시기 : 2020년 4월~12월

사업 주요 내용
생태강사(생태예술, 생태놀이, 생태치유)양성 및 인력풀 구성
  • 생태예술/생태놀이/생태치유 교육안 개발 및 강사 역량 향상
지역문화공동체의 상징인 작은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생태예술교육거점 육성 시범사업 운영(공모)
추진 과정
(4월~5월) 생태(예술/놀이/치유)강사풀 구축 및 지원에 관한 심화연구그룹 운영
  • 순천형 생태강사 육성․지원에 대한 연구 : 도서관운영과, 평생학습과, 작은도서관운영자협의회, 지역예술강사, 풀뿌리교육자치지원센터 등 전문가 그룹 참여
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, 풀뿌리교육자치지원센터, 넥스트젠 등과 협력 체결
(6월~7월) 생태강사풀 가입희망자 모집/사업 설명회 진행→1차 강사풀 선발 및 참여강사 교육안 개발 연수회 개최, 연구모임 지원 등
작은도서관 대상, 생태예술교육프로그램 지원 희망도서관 공개모집→선정(8월)
  • 지역 내 운영 중인 작은도서관(전체 약 75개)을 대상으로 생태예술교육 거점 희망 공모⇒12개소를 시범 사업지로 선정⇒생태강사 배정⇒거점 도서관에서 교육프로그램 진행
(9월~11월) 작은도서관, 생태문화교육 프로그램 시범운영→성과공유회(12월 중)
성과목표
  • (정량적 목표) ▲생태(예술/놀이/치유)강사풀 구성(‘20년 24인/팀 양성) ▲생태예술교육거점 작은도서관 12개소 발굴 ▲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, 풀뿌리교육자치지원센터 등과 협력 체결 ▲100회 이상 프로그램 운영 및 교안 수정․보완
  • (정성적 목표) 생태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, 순천 고유의 생태예술교육 콘텐츠 개발, 작은도서관을 활용한 지역문화공동체 활성화 및 도․농격차해소
기대효과
  • 작은 도서관 등 지역 공동체 거점 활성화 및 도․농교류 기대
  • 생태문화관련 인력 양성 및 순천형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

    [차후 사정에 따라 위의 실행계획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.]

[57941] 전남 순천시 금곡길 43 1층 대표전화 061-749-3576,3577

홈페이지는 운영체제(OS):Windows 7 이상, 인터넷 브라우저:IE 9 이상, 파이어 폭스, 크롬, 사파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

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,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본 홈페이지의 모든 저작권은 순천 문화도시 센터에 있습니다.